fnctId=bbs,fnctNo=5108 RSS 2.0 43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게시글 리스트 PNU횃불인상 작성자 윤성효 조회 5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12.13 PNU횃불인상 제1회 PNU횃불인상 수상 작성자 윤성효 조회 5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12.13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총동창회로부터 제1회 PNU 횃불인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울산의 지질유산 세미나 죄장으로 토론회 주관 작성자 윤성효 조회 2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11.11 울산의 지질유산 세미나에서 좌정으로 토론회를 주관하였습니다. 울산의 지질유산 세미나 사진 자료 작성자 윤성효 조회 2 첨부파일 1 작성일 2024.11.11 울산의 지질유산 세미나에 참석하신 분들 중 얼굴이 알려져도 무방한(?) 참석자들만 연단 앞에서 기념 촬영... 좌석에는 그래도 많은 분들이 부끄러워 자리를 지키고 있었습니다.장부에 등재된 참석자만 143명이라도 들었습니다.울산지질공원이 국가지질공원 및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Geopark)이 되기를 소망합니다.특별히 참석해 주신 울산지역의 교사들과 부산에서 참석해 주신 부산지질공원 해설사님들게도 감사드립니다. 울산국가지질공원 세미나 개최 작성자 윤성효 조회 5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11.06 보도자료 Iceland 용암류에 덮힌 가옥 위의 표지석 작성자 윤성효 조회 20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01.29 1973년 아이슬란드 헤이마에이(Heimaey) 섬의 분화로 인한 용암류로 인해 파괴된 집 위의 표지석. (USGS/사진) The 8th WMO International Workshop on Volcanic Ash 작성자 윤성효 조회 95 첨부파일 1 작성일 2023.04.07 The 8th WMO International Workshop on Volcanic Ash (IWVA8), teamed up with IAVCEI, was held in Rotorua on February 4-5, immediately after the SA2023. 현무암 용암류의 흐름에서 냉각되는 모습 작성자 윤성효 조회 85 첨부파일 1 작성일 2023.04.07 혀무암 용암 류(lava flow) 냉각 모습 용암연못(lava lake)내의 용암 작성자 윤성효 조회 123 첨부파일 1 작성일 2023.04.07 용암연못내의 모습 현무암질 용암의 일류식 분화와 스페터콘 작성자 윤성효 조회 87 첨부파일 1 작성일 2023.04.07 현무암질 용암이 일류식 분화(effusive eruptiopn)하여 스패터콘(spatter cone)를 형성하고 여기서 계속하여 용암을 분출하여 용암류가 용암수로/용암도랑(lava channel)를 따라 이동 성층화산의 불칸형 분화 작성자 윤성효 조회 69 첨부파일 1 작성일 2023.04.07 쇼규모의 화산재 분연주 발생 용암돔 화산체 작성자 윤성효 조회 152 첨부파일 1 작성일 2021.07.06 과거 종상화산(鐘狀火山: tholoide)으로 부르는 규장질의 둥그스럼한 용암으로 이루어진 화산체를 '용암돔(lava dome)' 화산체라고 부른다.미국 세인트헬렌스 성층화산 산꼭대기 분화구내에서 성장하는 용암돔이 잘 알려져있다물론 제주도 산방산 용암돔(조면암 용암돔)도 대표적인 것에 해당한다. 고고지질학 분야 논문 성과 작성자 윤성효 조회 239 첨부파일 2 작성일 2020.04.21 고고지질학: 화산활동과 고고학과의 융합 논문 할레마우마우 분화구 모습 작성자 윤성효 조회 215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03.16 K?lauea Volcano, Summit Live Panorama of Halema?uma?u, water lake, and down-dropped block from the west rim of the new summit collapse features [KWcam] Last Updated 2020-03-15 15:40:08 (HST), 2020-03-16 10:40:08 (local 한국시각)[USGS HVO제공자료] 5월말의 백두산 장백폭포(비룡폭포)의 모습 작성자 윤성효 조회 306 첨부파일 1 작성일 2019.05.27 5월 23일 백두산 이도백하 상류의 장백폭포(비룡폭포)의 모습. 계곡에는 일부 잔설이 존재하고 있디만 날씨는 따뜻한 봄날이었다.천지물이 칼데라 외륜산(caldera rim)의 계곡인 승차하(또는 승사하) 골짜기를 지나 이도백하 상류의 발원지가 되는 곳이 장백폭포이다. 이도백하는 하류로 감에 따라 길림성에서는 송화강을 이루고, 북쪽으로 흑룡강성에서는 흑룡강,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을 따라 아무르강을 이루다가 북서태평양으로 유입된다. 천지물은 흘러흘러 태평양으로 간다는 것이다. 5월말의 백두산 천지 칼데라 호수의 모습 작성자 윤성효 조회 286 첨부파일 1 작성일 2019.05.27 백두산 산정부 칼데라의 직경은 약 5 km이며, 그 안에 칼데라 호수인 천지가 위치한다. 천지 호수는 장경 4.3 km, 단경 3.37 km이며, 깊이가 가장 깊은 곳이 374 m 이며, 그 안에 20억톤의 물을 저장하고 있다. 대부분이 하늘에서 내린 천수(천지 수면의 해발고도가 2,189 m이고 그 주변에 2,500 m~2,750 m에 이르는 외륜산들이 둘러싸고 그 사면을 따라 지하수가 흘러 천지안으로 들어간다)이고(수소이온농도pH는 7.66<2019년 5월 23일 측정>으로 약알칼리성), 온천이 중국측에 1곳, 북한쪽에 3곳이 위치한다. 5월말의 천지는 아직까지 얼음으로 뒤덮여 있고, 6월초가 되어야 서서히 녹기 시작할 것이다. 장철우 박사 학위 수여(2월 22일, 금) 작성자 윤성효 조회 488 첨부파일 3 작성일 2019.02.22 오늘 2019년 2월 22일(금) 오전11시에 2018년도 전기학위수여식이 있었다. 최근 메머드 종합대학으로 발전함에 따라 학교 경암체육관 대강당에서는 박사학위 수여자 및 석사과정의 졸업생들 중 각 과정 대표자에게만 졸업식 행사를 진행한다. 각 단과대학 및 학과에서 소규모 단위로 자율적으로 졸업식을 진행함에 따라 오늘 지구과학교육과 및 대학원 지구과학과 석박사과정 졸업식을 지구관 304호에서 거행하였다. 학과장이신 강혜성 교수님의 부탁으로 3월 1일(2019년 1학기)부터 학과장을 맡게 된 윤성효 교수가 졸업장 및 학위기 수여식을 진행하였다. 우리 화산특화연구센터의 장철우 연구원이 이학박사(Ph.D)학위를 수여하였다. 2019년 임용합격자 작성자 윤성효 조회 267 첨부파일 1 작성일 2019.02.19 2019년 3월부터 교직 및 공무원으로 출근하게 된 자랑스런 제자들입니다. 2018 추계지질답사 공룡알 산출지 작성자 윤성효 조회 288 첨부파일 5 작성일 2018.11.05 2018년 가을 추계지질답사 지질A팀 공룡알 산출지 답사경상남도 통영군 도산면 죽도 2018 추계지질답사 지질A팀 작성자 윤성효 조회 215 첨부파일 5 작성일 2018.11.05 추계지질답사지질A팀(윤성효 교수)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해안 상족암 공룡발자국산지 2017년 추계필드 사진2 작성자 윤성효 조회 244 첨부파일 1 작성일 2017.12.07 울산광역시 울주군 천전리 각석바위를 배경으로(사진에 얼굴이 없는 학생은 결석임) 추계필드사진 1 작성자 윤성효 조회 240 첨부파일 1 작성일 2017.12.07 지질파트 참가자(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한국화산방재학회 2017 추계학술대회에서 작성자 윤성효 조회 221 첨부파일 1 작성일 2017.11.16 한국화산방재학회 개회식 후 참석주요인사 기념촬영 포항지진 작성자 윤성효 조회 190 첨부파일 0 작성일 2017.11.16 포항지진이 발생한 이유는? 양산단층 지류(양산단층에서 오른쪽에 위치한 소단층 ?) 윤성효 교수 2017년 한국암석학회 도암학술상 수상 9 작성자 윤성효 조회 212 첨부파일 1 작성일 2017.06.01 도암학술상 2회 수상 윤성효 교수 2017년 한국암석학회 도암학술상 수상 9 작성자 윤성효 조회 231 첨부파일 1 작성일 2017.06.01 도암학술상 윤성효 교수 2017년 한국암석학회 도암학술상 수상 7 작성자 윤성효 조회 234 첨부파일 1 작성일 2017.06.01 도암학술상 윤성효 교수 2017년 한국암석학회 도암학술상 수상 6 작성자 윤성효 조회 248 첨부파일 1 작성일 2017.06.01 도암학술상 2회 수상 윤성효 교수 2017년 한국암석학회 도암학술상 수상 4 작성자 윤성효 조회 205 첨부파일 1 작성일 2017.06.01 도암학술상 2회 수상 최초 윤성효 교수 2017년 한국암석학회 도암학술상 수상 3 작성자 윤성효 조회 251 첨부파일 1 작성일 2017.06.01 도암학술상 2회 수상 윤성효 교수 2017년 한국암석학회 도암학술상 수상 2 작성자 윤성효 조회 206 첨부파일 1 작성일 2017.06.01 도암학술상 수상 윤성효 교수 2017년 한국암석학회 도암학술상 수상 1 작성자 윤성효 조회 220 첨부파일 1 작성일 2017.06.01 도암학술상 2회 수상 윤성효 교수 2017년 한국암석학회 도암학술상 수상 작성자 윤성효 조회 206 첨부파일 1 작성일 2017.06.01 도암 학술상 2회 수상 비엔나에서 작성자 윤성효 조회 279 첨부파일 1 작성일 2016.07.13 고보균 박사(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와 함께 EGU참석 작성자 윤성효 조회 244 첨부파일 1 작성일 2016.07.13 The EGU General Assembly 2016 was again a great success with 4,863 oral, 10,320 poster, and 947 PICO presentations. 619 unique scientific sessions together with 321 side events created an interesting programme. At the conference 13,650 scientists from 109 countries participated, of which 25% were students and 53% early career scientists (under the age of 35 years), 15,000 copies of EGU Today distributed, keen media presence and reporting, and thousands of visits to the webstreams as well as to the EGU blog GeoLog. We thank all of you very much for your attendance and your active contribution to this great event. We would be very pleased to welcome you back at the EGU General Assembly 2017, 23?28 April 2017, Vienna, Austria. 백두산 946년 분화물: 화성쇄설류와 탄화목 작성자 윤성효 조회 308 첨부파일 1 작성일 2016.07.13 백두산 946년 분화물: 화성쇄설류와 탄화목 2011년 4월 8일 신문보도자료 작성자 윤성효 조회 275 첨부파일 1 작성일 2016.07.13 백두산 히로시 마찌다 교수와 함께 B-Tm을 찾아서 작성자 윤성효 조회 290 첨부파일 1 작성일 2016.07.13 히로시 마찌다 교수와 함께 B-Tm을 찾아서 부산일보 2015년 7월 3일 보도자료 작성자 윤성효 조회 233 첨부파일 1 작성일 2016.07.13 ^*^ Deccan Trap Basalt 작성자 윤성효 조회 302 첨부파일 1 작성일 2015.10.06 데칸고원의 현무암 용암대지의 단면 처음 1 2 다음 페이지 끝 처음 다음 끝